[책요약]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 - 톨스토이
러시아가 낳은 세계적 대문호 톨스토이의 단편.
톨스토이의 작품답게 기독교적 사상이 깊게 녹아 있다.
구두 수선공 세묜은 열심히 일하지만 가난하다. 그저 허기를 면하는 것이 전부다.
세묜과 그의 아내는 외투 한 벌을 번갈아 입으며 겨울을 보냈다. 하지만 그 외투도 너무 낡았기에 다가오는 겨울을 위한 새 외투가 필요했다. 세묜은 모아둔 돈과 이웃에게 빌려준 돈으로 새 외투를 장만하기 위해 길을 나선다. 그렇지만 이웃들은 변명을 둘러대며 돈을 갚지 않는다.
홧김에 술을 마시고 집으로 돌아오던 세묜은 교회 옆에서 벌거벗은 채 쓰러져 있는 한 사내를 발견한다. 세묜은 모른 척 지나치려 했으나 끝내 외면하지 못하고 그를 집으로 데려간다.
집에 도착하자 아내 마트료나는 외투도 못 사고 술에 취한 남편이 누군가를 데려왔다는 사실에 화를 낸다. 하지만 "당신 마음에도 하나님이 살아 계시지 않느냐"는 남편의 말에 화를 누그러트린다.
이런 마트료나를 지켜보던 남자는 처음으로 미소를 짓는다.
세묜은 그 남자(미하일)를 거둔 후 구두 수선을 가르쳐 준다. 미하일은 누구보다 빠르게 일을 배우며 세묜의 실력을 앞지르기 시작했다.
어느 날, 부유한 신사가 세묜을 방문한다. 그는 고급 가죽을 주며 1년을 신어도 모양이 변하지 않는 장화를 만들어 줄 것을 주문한다. 세묜은 부담을 느끼면서도 미하일의 실력을 믿고 일을 맡는다. 미하일은 세묜의 옆에서 신사의 어깨너머를 바라보다 두 번째 미소를 짓는다.
신사가 떠난 후 세묜은 미하일에게 장화 제작을 맡긴다. 작업이 한창 진행되던 중 세묜은 미하일이 장화가 아니라 장례식 때 시신에 신기는 슬리퍼를 만들고 있다는 것을 알고 크게 놀란다.
바로 이때, 신사의 하인이 방문한다. 그는 신사가 갑자기 죽었으니 장화 대신 장례식에 신을 슬리퍼를 만들어 달라고 말한다.
세묜의 생활은 안정되어 갔다. 미하일의 실력 덕에 손님이 많이 늘었기 때문이다.
그러던 어느 날 한 부인이 두 여자아이와 함께 신발을 주문하기 위해 방문한다. 한 아이는 다리 한쪽이 불편하다. 미하일은 이 아이들에게 깊은 관심을 보인다.
한편, 마트료나는 다리를 다친 아이의 사정이 궁금해 여인에게 묻는다. 여인은 이 아이들은 자신의 혈육이 아니라고 답한다. 아버지는 나무를 베던 중 목숨을 잃고, 어머니는 출산 후유증으로 세상을 떠났다고 한다. 친어머니가 숨이 끊어질 때 한 아이의 다리 위로 넘어졌기 때문에 장애가 남은 것이다. 여인은 아이들을 잠시 맡았다가 본인의 아이를 잃게 되면서 이들을 친자식처럼 키우게 된다.
구두가 완성되자 여인과 아이들은 돌아가고, 미하일은 그들을 보며 세 번째 미소를 짓는다. 순간, 미하일의 몸에 빛이 나기 시작한다. 사실 그는 대천사였던 것이다.
천사 미하일은 하나님의 명에 따라 한 여인의 영혼을 거두려 했다. 하지만 얼마 전 남편을 잃고, 갓 태어난 두 아이를 홀로 키워야 하는 여인을 딱하게 여긴 미하일은 영혼을 거두지 못한다.
그러자 하나님은 미하일에게 다시 여인의 영혼을 거둘 것을 명하며, 그리하면 '사람의 마음 속에는 무엇이 있는가? , 사람에게 주어지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와 같은 질문에 대한 답을 얻을 것이라 말한다.
이후 미하일은 여인의 영혼을 거두어 천국으로 돌아가던 중 갑자기 인간세계로 추락한다. 그리고 그 후에 만난 사람이 세묜이었다.
미하일은 마트료나가 처음에는 화를 내다가 결국 본인을 받아주는 것을 보고 '인간의 마음 속에는 사랑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또한, 그날 밤 죽게 될 신사가 튼튼한 신발을 요구하는 것을 보고 '사람에게는 자신에게 진정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알 수 있는 능력이 없다'는 것을 깨닫는다. 마지막으로, 자신이 가엽게 여겨 영혼을 거두기를 주저했던 여인의 아이들이 주변의 도움으로 너무나 잘 자란 것을 보며 '사람은 사랑(=하나님)으로 산다'는 사실을 깨닫는다.
하나님의 예언과 같이 인간에 대한 3가지 답을 알게 된 미하일읕 다시 대천사가 되어 하늘로 돌아간다.
너무 종교적이라 거부감이 들 수 있다. 하지만 인간이란 존재는 서로 아끼고 사랑해야 살아갈 수 있다는 메시지 자체에 거부감을 느낄 이유는 없다.
삶이 각박하다 싶을 때 경건한(?) 마음으로 읽어보기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