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13 [책요약] 심리학이 관우에게 말하다 2 - 천위안 관우를 중심으로 중국 삼국시대 인물들의 심리를 분석한 책. 1권에 이어서 관도대전 이후부터 관우가 죽음을 맞이하기까지의 내용을 담고 있다. 원소에게서 벗어난 후 잠시 유표에게 몸을 의탁하게 된 유비는 우연히 만난 수경선생으로부터 참모의 중요성을 깨닫게 된다. 이후 유비군은 서서라는 발군의 인재를 등용하여 조조군을 물리치는 데 성공하지만 조조의 계략으로 인해 서서를 빼앗기게 된다. 서서는 어쩔 수 없이 유비 곁을 떠나며 제갈량을 소개해 준다. 제갈량은 유비의 진영에 합류한 후 뛰어난 지략으로 조조군을 공격을 막아내며 자신의 입지를 확고히 한다. 그러나 그동안 유비 곁에서 2인자 위치를 지켜온 관우와의 신경전은 갈수록 심화된다. 이후 조조는 유비에게서 눈을 돌려 손권을 노린다. 조조의 대군에 맞서 손권은.. 2025. 7. 17. [책요약] 심리학이 관우에게 말하다 1 - 천위안 중국 삼국지의 인물들의 행동을 분석해 심리학을 알려주는 교양서. 쉽고 재미있다. 책은 관우가 조조에게 잠시 의탁하는 시점부터 오관참육장으로 유명한 일화 직후까지의 내용을 다룬다. 조조는 반동탁연합 시절 화웅을 단칼에 베어버린 관우에게 큰 호감을 갖고 있었다. 이후 서주의 유비를 쫓아내는 과정에서 관우가 유비의 부인들과 함께 고립되자, 조조는 그의 투항을 받아내기 위해 노력한다. 관우는 투항을 위한 3가지 조건을 제시한다. 첫째, 관우는 조조가 아닌 한나라 황실에 투항하는 것이며 둘째, 형수들의 생계유지를 위해 유비의 녹봉을 유비의 부인들에게 지급해야 하며 셋째, 이후 유비의 소식을 듣게 되면 즉시 조조를 떠나겠다는 것이다. 황제를 끼고 천하를 호령하던 조조에게 첫째와 둘째 조건은 아무 문제가 되지 않.. 2025. 6. 29. [책요약] 유비는 왜 그랬을까 2 - 천위안 조조에게 패한 유비가 형주의 유표에게 의탁하는 시점부터 이릉대전에서 패한 유비가 백제성에서 숨을 거둘 때까지의 내용이다. 유표는 유비 일행을 받아 주었지만 유표의 처남인 채모의 세력은 유비를 견제하며 때때로 그의 목숨을 노리기도 한다. 본인의 곤궁한 형편을 한탄하던 유비는 우연히 만난 사마휘를 통해 자신에게 지략가가 없음을 깨닫게 되고 서서를 등용한다. 그리고, 얼마 후 조조는 유비를 다시 공격하지만 서서의 전략으로 인해 패퇴한다. 유비에게 뛰어난 전략가가 있음을 알게 된 조조는 서서의 모친을 사칭해 '조조에게 투항하지 않으면 본인의 목숨이 위험하다'는 편지를 보내고, 이에 속은 서서는 유비 곁을 떠난다. 서서는 매우 짧은 등장에도 불구하고 삼국지 내에서 손에 꼽히는 전략가이다. 그런 그가 어찌하여 거.. 2025. 6. 10. [책요약] 유비는 왜 그랬을까 1 - 천위안 삼국지연의에서 유비가 보이는 행적에 대한 심리학적 분석을 담은 책. 총 2권이나, 남겨둘거리가 많아 우선 1권의 내용을 적는다. 1권은 도원결의부터 시작하여 유비가 조조에게 패한 후 형주의 유표에게 의탁하기로 결심하는 순간까지의 내용이다. 후한 말 황건적의 난으로 나라가 어지러워지자 조정에서는 황건적 소탕을 위한 의병을 모집한다. 이 시기 유비, 관우, 장비가 의형제를 맺고 의병을 일으킨다. 유비는 관우, 장비와의 첫 만남에서부터 스스로를 '황실의 후예'라고 소개했다. 물론, 유비의 말 자체가 거짓은 아니었을 것이다. 하지만 후한말에는 발에 채이는 것이 '황실의 후예'였다. 그렇다면, 이러한 사실을 잘 알고 있을 유비가 한실의 종친임을 말하고 다닌 이유는 무엇일까? 이는 가진 것 없던 유비가 자.. 2025. 5. 27. [책리뷰] 프로이트의 의자 - 정도언 '심리학' 또는 '정신분석학'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인물 프로이트의 이론에 바탕한 심리학 교양서. 프로이트에 따르면 의식은 '의식', '전의식', '무의식'으로 구분된다. '의식'은 우리가 인식하는 기억, 느낌, 경험 등을 말하며, 이러한 영역에서의 정신활동을 의미한다. '전의식'은 의식과 무의식의 중간에 위치하고 있다. 당장은 인식할 수 없지만 약간의 노력으로 떠올릴 수 있는 것들이다. 책에서는 '첫사랑'을 전의식으로 비유한다. '무의식'은 정신의 가장 깊숙한 곳에 위치하고 있으며 우리가 인식할 수 없는 의식세계이다. 억눌려 있는 성욕, 폭력성, 안 좋은 경험 등이 무의식에 숨어 있다. 노력한다고 떠올릴 수는 없지만 실상 우리에게 매우 큰 영향을 준다. 프로이트는 자아 역시 세 가지로 구분한다. .. 2024. 6. 29.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