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33

[책요약] 후흑학 - 신동준 (이종오) 중국 청나라 말에 이종오라는 인물이 저술한 책. 중국 역사 속 여러 사건들을 분석하여 정립한 '난세의 통치술 + 처세술'이다. 혼란스러웠던 청나라 말기에 후흑술로 나라를 구하는 '후흑구국'을 염원하며 적은 책이라고 한다. 참고로 후흑은 두꺼운 얼굴(면후 面厚)과 시커먼 속마음(심흑 心黑) 즉, 면후심흑을 줄인 말이다. 생각과 의도를 숨긴 채 원하는 것을 쟁취하는 방법론 정도로 이해하면 틀리지 않을 것이다. 후흑에는 3단계가 있다. (1단계) 얼굴이 성벽처럼 두껍고 속마음이 숯덩이처럼 검은 단계이다. 안색이 혐오스러워 사람들이 접근하길 꺼리는 초보적인 단계이다. (2단계) 얼굴이 두꺼우면서 딱딱하고 속마음이 검으면서도 맑은 단계이다. 얼굴이 두꺼운 데는 유비를, 속마음이 검은 것에는 조조를 꼽는다. 유비.. 2023. 11. 9.
[책요약] 고전의 전략 - 김원중 중국 대표 고전 한비자, 손자병법, 사기, 정관정요의 주요 내용을 소개하고 이를 통하여 현재를 살아가는 전략, 마음가짐 등을 적은 책. 자기계발적인 요소가 있으나 역사적 내용의 비중이 더 많다.  "한비자"로 대표되는 법가는 말 그대로 '법을 통한 통치' 이념을 말하며, 법(法), 술(術), 세(勢)를 핵심으로 한다. '법'은 문자 그대로 '법'이다. 법은 내용이 명료하여 누구나 알 수 있어야 하고, 집행은 평등하여 신분에 상관없이 일관성 있게 적용되어야 한다는 정도로 요약된다. '술'은 군주가 신하를 통제하고 제어하는 기술인데, '법'이 앞에서 통제하는 것이라면 '술'은 은밀한 기술이다. 신하들보다 한 걸음 앞서 생각하기, 세력 간 힘 조절 등을 통한 조직 통제로써, 조선 태종이나 영조 정도를 생각하면.. 2023. 11. 3.
[책리뷰] 세종의 허리 가우디의 뼈 - 이지환 정형외과 전문의인 저자가 세종대왕, 가우디와 같은 역사적 인물들의 질병을 추리해 나가는 교양서. 본 책에서는 각 분야에서 괄목할 만한 업적을 남긴 10명의 위인들을 다룬다. 등장인물은 세종대왕, 가우디, 도스토옙스키, 모차르트, 로트레크, 니체, 모네, 프리다, 마리 퀴리, 말리. 모든 분야에서 천재성을 보였고, 무인의 피를 이어받은 세종께서 운동을 싫어했던 이유는 무엇일까? 통상 세종께서 고기와 학문을 좋아했기에 몸이 비대해질 수밖에 없었고, 비대해진 몸은 더욱더 운동을 멀리하게 했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저자는 실록의 기록 등에 기초하여 세종께서 강직성 척추염을 앓았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세종은 '임질'에 걸렸던 것으로 유명하다. 유교를 근간으로 하는 왕조의 대표 성군이 성병에 걸렸을 가능성.. 2023. 10. 10.
[책리뷰] 악마의 문화사 - 제프리 버튼 러셀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신화, 성경, 문학작품 등에 등장하는 악마를 분석하고, 해당 시대의 악마에 대한 개념을 탐구한 책. 악마라는 개념은 매우 오래전부터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고대에는 "악마"가 독립적 개념을 갖기 보다는 "신"이 '선과 악'의 양면적 모습을 동시에 갖고 있었다고 한다. 다신교의 경우에는 역할이 분담되어 있는 경우도 있지만, 그들 역시 선한 면을 보유하고 있거나 선한 신들과 혈육관계 혹은 실질적으로 동일성을 가진 경우가 많았다. 이후 유일신을 믿는 유대교, 기독교 등은 큰 문제에 봉착하게 된다. 절대적인 존재이며 우리를 사랑하는 창조주에게 악한 면이 있다는 것은 선뜻 인정하기 쉽지 않았던 것이다. 그들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신" 보다는 한 단계 아래이지만 강력한 힘을 .. 2023. 6. 8.
[책리뷰] 광기와 유연의 역사 - 슈테판 츠바이크 역사에서 14건의 중요사건을 전기 형식으로 작성한 책. 세계적인 스테디셀러 중 하나라고 한다. 1920년대 초판이 출판된 이후로 수정, 증보를 거듭하며 현재에 이르렀다고 한다. 국내판은 몇 년 전에 새로 완역본이 발간되면서 기존에 없던 내용 2가지(키케로, 윌슨)가 추가됨. 책에서 다루는 내용은 다음과 같다(일부는 목차 그대로 옮겨 적음); 1. 키케로의 죽음과 로마 공화국의 종말 2. 동로마 vs 오스만투르크 = 동로마 멸망 ('케르카포르타'로 유명한 전쟁) 3. 유럽인 최초로 태평양을 발견한 발보아 4. 뇌졸중을 극복하고 대작 '메시아'를 작곡한 헨델의 일화 (할~렐루야~♬ 할~렐루야~♬ 하는 그 곡) 5. 현 프랑스 국가를 작곡한 '오늘만 천재'에 대한 이야기 6. 19세기 유럽의 역사를 바꿔 놓은.. 2023. 5.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