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리뷰99

[책리뷰] 정의가 곧 법이라는 그럴듯한 착각 - 스티븐 러벳 제목도 좋고 표지도 좋은 책이라 읽어봤는데, 그냥 그렇다...  법조계에 만연해 있는 부당함 등을 지적한 책인 듯 싶지만... 솔직히 저자가 하고자 하는 말이 뭔지 잘 모르겠다.  단어가 함축적이라던가, 문장 구성이 너무 어렵다던가.. 아니면 내용 깊숙이 함의가 있는 그런 건 아닌 듯 싶은데, 뭔가 책을 읽는 내내 산만하다는 느낌을 받았다.  미국 법조계에 대한 비판을 목적으로 쓴 책이기에 감정적으로 나와 어울리지 못하는 부분도 있겠고, 불친절하게 넘어가는 부분도 다소 있어 그렇겠지만, 서두부터 말미까지 꿰뚫는 어떤 논지가 있는지 잘 모르겠음. 제도의 불완전함을 비판하기도 하다가 인간 고유의 특성에 따른 불합리성을 지적하기도 하다가... 뭐... 암튼.. 정신없음. 2022. 8. 31.
[책리뷰] 조선왕조 스캔들 - 신명호 어찌어찌하다 보니 이번에도 조선왕조 관련 책이다. 이름하야 "조선왕조 스캔들". 왕자와 몰락한 양반가 규수의 썸 타는 내용은 아니고, 역사 이면에 숨어있던 이야기들이다. 책은 총 다섯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 잘못된 길에 발을 들인 군주들 제2장 왕과 세자, 그 지독한 부자의 악연 제3장 권력이 만들어낸 왕실의 비극 제4장 궁중 여인들의 기막힌 일생 제5장 외세 앞에 무기력했던 지도자들 역사 좋아하는 분들은 목차만으로도 떠오르는 인물들이 있을 듯한데, 개인적으로 가장 관심을 가진 부분은 제5장에서 나오는 '신령군' (혹은 '진령군')에 대한 이야기이다. 진령군은 한때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로 나라가 한창 어지러울 때 러시아의 라스푸틴과 함께 자주 언급되었던 조선말기의 무속인이다. 명성황후가 임오군.. 2022. 8. 31.
[책리뷰] 왕으로 산다는 것 - 신병주 "역사저널 그날"과 팟캐스트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의 패널로 유명한 신병주 교수님의 왕가 중심의 조선 역사책. 조선사를 전체적으로 훑어볼 수 있는 재미있는 책이다. 조선은 500년가량 유지된 나라이다. 천년왕국을 자랑하는 신라 때문에 착시 현상이 일어나서 그렇지, 중국만 하더라고 왕조의 평균 수명이 100년이 안된다는 점을 생각해 보면 정말 장수한 나라다. 이렇듯 한 왕조가 오랜기간 유지된 데에는 다양한 이유가 있겠지만, 저자는 조선 왕들의 리더십 등에서 그 이유를 찾는다. - 장수 왕조임을 강조하며 글을 시작했지만, 나는 역사책을 보면서 통상적으로 성장기보다는 쇠퇴기에 집중하는 편이다. 그리고 역시나 이 책을 읽고 나서도 조선이 내리막길을 걷는 순간들이 기억에 남는다. 조선의 삐리한 왕들을 선정할 때.. 2022. 8. 31.
[책리뷰] 조선은 왜 일본의 식민지가 되었는가 - 이덕주 제목 그대로 조선이 왜 일본의 식민지배를 받게 되었는지에 대한 내용. 당시 세계열강들의 사정과 조선, 중국, 러시아, 일본의 상황을 상세하게 기술하고 있다. 조선이 왜 일본의 지배를 받게 되었는지는 간단하다. 바로 스스로를 지킬 힘이 없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조선은 왜 자력국방의 힘을 키우지 못했을까? 이 역시 간단하다. 그럴 필요가 없었기 때문이다. 조선은 건국 초부터 명나라에 사대를 취하였고, 그 대가로 왕권과 나라를 유지할 수 있었다. 당시 한반도를 둘러싼 정세를 고려하면 그리 나쁘지 않은 선택이었을 듯싶다. 조선 태조 자체가 무인 출신이고, 역성혁명을 통하여 건국된 나라인 만큼 나름 전투력은 괜찮았을 것이다. 하지만 나라 안에서는 고려 충신들의 대항과 백성들의 혼란을 잠재울만한 여러 가지 제도 .. 2022. 8. 31.
[책리뷰] 페스트 - 알베르 카뮈 실존주의 철학자로도 유명한 알베르 카뮈의 대표작. 1940년 프랑스령인 오랑에서 페스트가 창궐하면서 발생하는 일련의 사건들을 그려낸 소설이다. 소설 "페스트"는 지옥 같은 배경을 바탕으로 크게 3종류의 인간 유형을 소개한다. 1. 사회적인 위기를 기회로 인식하는 유형 2. 페스트가 인간의 죄 때문이라는 생각으로 냉소적이며 방관자적 입장을 보이는 유형 3. 현재 상황을 어떻게든 극복하기 위해 본인이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다 해 보는 유형 글을 읽다 보면 우리 모두는 당연하게도 1번, 2번 유형을 비난하고 3번 유형에 감명을 받는다. 하지만... 현실은? 2번 유형에 다수의 사람들이 포함될 것이고, 꽤나 많은 사람들이 1번 유형에 속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재미있는 건, 가장 최악으로 보이는 1번 유형의 .. 2022. 8. 30.